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Fill flash 사용법 II

사용기

by 파란창 2005. 2. 11. 17:38

본문

앞에 강좌에서 Fill flash에서 FEL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FEL을 할 경우 노출은 저속동조에서의 노출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실제 역광상황에서 촬영한다면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사진이 된다. 또한 자연스러운 사진을 만들기 위하여 광량 -로 보정하여주면 어느정도 커버는 되지만 문제는 구도변경을 할때 노출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중심부에 피사체를 놓고 광량보정에 따는 노출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우선 결과를 보자.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0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0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이상을 보면 재미있는 결과를 하나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심부에 피사체가 온 상태에서 고속동조를 하면 생각 많큼 광량보정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위의 결과를 보면 흰 피사체의 경우 광량보정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만 검은색 피사체의 경우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은 창틀을 모면 알 수 있듯이 검은색 피사체로 갈수록 창틀의 밝아 진다. 즉 고속동조에서는 중앙측거점과 연관된 부분의 피사체의 색갈이 전체 노출을 결정하는데 매우 지대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실제 중심부에 피사체가 놓이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테스트 하여 보자.

아래 사진들은 중심부에 밝은 하늘을 놓고 측광하고 광량을 보정하여 찍은 사진들인데 피사체의 색의 변화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0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0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 1.3 EV


광량보정0 EV


광량보정 -1.3 EV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이 경우 역시 흰색 피사체가 광량보정의 효과를 더 받는다. 즉, 고속동조는 중앙부의 피사체의 색갈 뿐만 아니라 주변부 피사체의 색도 노출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앙에 피사체가 놓이지 않을 경우 광량보정의 효과는 실제 광량보정의 양보다 훨씬 적게 작용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고속동조에서는 저속동조와는 다르게 적정노출보다 어둡게 발광한다는 사실이다. 고속동조에서 적정노출을 얻고 싶으면 FEL을 이용하라!!!!!

중심부에 피사체가 놓였을 경우 후래쉬의 발광량은 피사체의 색갈과 관계가 연관되어 있다. 밝은 피사체일수록 광량보정 효과가 더 나타난다.

중심부에 피사체가 없을 경우 광량보정은 매우 미미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면 과연 어떻게 사진을 찍어야 자신이 원하는 노출을 얻을수 있을까?

다음편에 계속하겠습니다.


'사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용 커피메이커 Grindripper  (5) 2011.11.17
캐논 vs. 탐론 표준줌 최대개방 화질 비교  (0) 2008.06.28
EF lens chart  (0) 2005.01.30
Fill flash 사용법  (0) 2005.01.30
초보자를 위한 후래쉬 사용강좌 1  (1) 2005.01.15

관련글 더보기